본문 바로가기

GA

[GAIQ] 수동 태그 추가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입니까?

728x90

Q. 수동 태그 추가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입니까?


A. 애드워즈, Facebook 등의 모든 광고 캠페인을 추적해야 하는 경우


B. 애드워즈 이외의 맞춤 캠페인을 사용하는 경우


C. 애드워즈 캠페인만 추적하려는 경우



[나의 풀이]

A. 애매함 애드워즈는 수동 태그 추가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님. 페이스북은 utm 코드로 추적 하는건 맞는데...

B. 애드워즈 = 자동태그, 나머지 = 수동태그 라는 의미로 문제를 냈다고 기대하고 B를 선택.

자동 태그 추가를 사용 할 수 없는 경우? 라고 이해하고 풀이 하겠다.

자동 태그 추가를 사용하면 자동으로 애드워즈 데이터를 애널리틱스로 가져온다.

애널리틱스 에서 제공하는 정보보다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애드워즈 계정 에서 설정하는 것임





아래는 자동 태그 추가와 수동 태그 추가의 비교이다.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733663

자동 태그 추가 및 수동 태그 추가의 보고서 비교

수동 태그 추가에서는 캠페인, 소스, 매체, 콘텐츠, 키워드 측정기준에 대한 데이터만 제공됩니다. 하지만 자동 태그 추가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다른 측정기준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어 검색 유형(키워드와 검색어의 실제 일치 여부를 확인)
  • 광고그룹(키워드/광고 및 클릭과 연결된 광고그룹)
  • 최종 도착 URL(애드워즈의 최종 도착 URL)
  • 광고 형식(텍스트, 디스플레이, 동영상)
  • 광고 게재 네트워크(Google 검색)
  • 게재위치 도메인(디스플레이 네트워크에서 광고가 게재된 도메인)
  • 애드워즈 고객 ID(애드워즈 계정에 할당된 세 자리의 고유한 숫자)

자동 태그 추가를 이용하면 아래의 보고서에서 수동 태그 추가를 이용할 때보다 더욱 풍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간대
  • 게재위치(디스플레이 네트워크에서 광고가 게재된 위치)
  • 키워드 게재순위(Google 검색에서 광고가 게재도순위)
  • 디스플레이 타겟팅
  • 동영상 캠페인
  • 쇼핑 캠페인
- GAIQ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풀이입니다. 절대적인 답이 아닐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