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적행복 썸네일형 리스트형 행복의기원-서은국 💡 17. 행복은 본질적으로 생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꾸만 생각을 고치라고 조언하고 있다. 이런식의 행복 지침서를 읽고 행복해지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 27. 이성적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것이 행복을 이해하는데 왜 방해가 되는가? 마치 옛사람들이 주술사의 현란한 기우제 춤 때문에 비가 온다고 믿는것과 같기 때문이다. 춤은 눈에 보이지만 비의 원인은 아니다. 습도 풍향 같은 자연 요인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것이 비의 원인이다. 💡 28. 행복을 소리라고 한다면, 이 소리를 만드는 악기는 인가의 뇌다. 💡 45. 봄비는 꽃을 피우기 위해 내리는 것 같다. 이처럼 세상만사를 어떤 원인이나 목적, 계획과 결부시켜 생각하는 관점을 목적론적 관점이라 한다. 지금까지의 행복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