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독서]속임수의 심리학-김영현

발췌로그 2022. 3. 18. 10:11
728x90

저자는 현직 검찰수사관으로 다양한 사기사건 사례를 통해, 사람들이 어떻게 속아넘어가고 그것에 어떠한 심리적 요인이 있는지 기술하고 있다.

 

[목차를 통한 맛보기]

 

Part 1) 이대로라면 평생 속고만 산다 

> 사람들이 속는 일반적인 상황과 원인에 대해 이야기한다. 

속임수 기법에는 공통적으로 욕망, 신뢰, 불안 이라는 심리가 있다. 

뉴턴이 투자실패한 사례, 선급금사기 등을 예로 든다.

 

Part 2) 속임수는 욕망을 먹고 자란다. 

> 타인이 속았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이해가 안가기도 한다. 왜 저렇게 바보같이 속았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면 대부분 그들이 욕망을 자극당했기 때문이다. 

'이 기회를 놓치면 후회할거야' 와 같은 심리는 비합리적인 행동을 유도하기 좋은 장치이다. 

 

Part 3) 익숙해서 고민하지 않는 사람들

> 사기는 아는사람에게 더 많이 당한다. 그리고 사실은 아는 사람이 아닌데 직책, 권위만 보고 믿어버리는 것들
모두 익숙함에 의한 피해이다. 사람들은 익숙하거나 권위가 있어 보이는사람을 의심하지 않는다.

Part 4) 불안은 어떻게 우리를 조종하는가
> 불안을 잘 활용하면 타인을 쉽게 조종할 수 있다.

그 예로 종말 예언자, 경제적 어려움이 유대인 탓이라고 불안을 조장한 히틀러를 들 수 있다.

 

[책을 읽고 난 후 느낀점]

일반적으로 사기는 한가지 요소만으로 구성되지 않는 것 같다.

책에서 소개한 욕망, 신뢰, 불안 거기에 게으름, 현재상황, 타이밍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사기에 영향을 준다고 해야할것같다. 

자주 속는사람들은 욕망,신뢰,불안 을 기준으로 본인을 되돌아 보면 앞으로 살아가면 속지 않는데 더욱 도움이 될지 않을까 생각된다. 

 

소개해준 사례중에 폰지 사기는 오래됐지만 여전히 유용하고, 여기저기에 변형되어 활용되는 방법이라 알고있으면 좋을 것 같다. 

* 폰지사기 : 투자 사기 수법의 하나로 실제 아무런 이윤 창출 없이 투자자들이 투자한 돈을 이용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초기 투자에 참여하고난 후 안정적으로 수익금이 지급되면, 피해자는 투자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 

이후 원금을 확대하거나 적극적으로 신규 투자자를 유치한다(신규투자 인센티브 형태가 발생함). 이때 중요한건 실제로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기꾼은 투자자들의 원금을 이용해 수익금을 돌려막기 형태로 지급하며, 투자자 규모가 커서 원금이 쌓이면 사기꾼은 원금을 들고 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