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경제 심리학 - 댄 애리얼리

발췌로그 2022. 3. 17. 17:40
728x90
 

15. 인간 행동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심리를 파악하고, 이러한 심리가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분명하게 인식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행동경제학이 추구하는 진정한 목표다. 

 

272. 행복감을 얻는 속도를 늦추라...

> 가능하다면 고통은 일시불로, 행복은 나눠서 경험하라. 혼수를 한번에 장만하면 그 기쁨과 만족은 짧지만 가구와 가전을 하나 하나 채워넣으면 그때마다 행복이 더해져서 행복감이 오래가게된다.

 

353. 인식가능 희생자효과

고통받는 사람들의 정보를 자세히 알고 있을때 우리는 더 큰 동정심을 느낀다. 

> 사람들은 통계 보다도 스토리에 움직인다. 몇백명이 대량학살당한건 현실감이 없지만 어느 한명이 고통당하는건 스토리를 통해 감정이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대량학살같은 경우는 내가 해봤자 변화시킬 수 없다는 무력감도 작용하기 때문에 더욱 도와주기위한 행동을 하기 어렵다. 

 

364. 일단 통계적인 정보를 접하게 되면 다른 이의 비극에 대해 특별히 더 높은 수준의 동정심을 갖기가 어려워진다

> 통계를 접하면 계산적인 사고방식을 유도하게되고, 오히려 동정심이 발휘되는것을 막는다. 

 

389,403  우리가 순간적인 감정에 휘둘려 내린 의사결정은 오랫동안 우리의 미래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어떤 새로운 상황을 맞아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면 일반 유형의 자기무리짓기를 통해 파급될 영향력을 염두에 두고 신중에 신중을 기해 최선의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사람은 본인이 이전에 결정했던 기준이 후의 결정에 영향을 준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감정에 의해 결정한 단기적 의사결정은 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어, 후에 비슷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할 경우에 그 기준으로 작용하게된다. 

 

432. 데이터를 얻기 전에 이론을 세우는 것은 중대한 실수다. (셜록홈즈)